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세바시] 어떻게 분노를 창조적 에너지로 바꾸는가?

Education/교육

by kh2030 2019. 3. 25. 23:53

본문

 

 이번 건화스토리 교육코너에서는 오랜만에 세바시강의 중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연사인 산돌커뮤니케이션 석금호 의장은 국내 타이포 개발의 선두자로서, 30여 년간 700여 개에 이르는 한글 폰트를 개발하였습니다. 익숙함을 떨쳐버리고 한 분야에서 꾸준히 창의성을 발휘하는 힘의 근원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갈망과 분노는 창의성을 싹트게 한다

 

 석금호 의장은 2002년 월드컵 때 전 국민이 모두 길거리에 나와 축구 하나로 모르는 사람과 껴안고 우는 장면을 보고 의아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당시에는 기쁘게 응원을 참여했지만, 한편으로는 얼마나 정체성을 찾을만한 대상이 없으면 축구공 하나에 온 국민이 눈물을 흘릴까?’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정체성이 모호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타이포 개발자가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우리의 정체성이 모호하면 온전한 디자인을 만들어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사회의 모든 위기는 정체성의 혼란에서 오는 것과 같기 때문에, 그 본질적인 문제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우리는 스스로 정체성에 대해 질문할 기회가 없습니다. 나는 왜 있어야 하는지. 국가, 혹은 기업, 작게는 브랜드, 상품, 서비스와 같은 것들에 대해 좀 더 진지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히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닌 고민을 해야 합니다.

 

 

 한글에서 그 예를 찾아보면, 세종대왕은 왕이라는 신분으로 세계 최고의 창의성을 자랑하는 한글을 개발했습니다. 세종대왕이 살던 시기에 우리 조선은 시대적으로 아프고 상처가 많은 시절을 겪고 있었습니다. 세종 또한 이런 아픔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태였는데, 이럴 때 나온 작품이 바로 한글입니다. 사실 세종은 이런 개발을 하지 않아도 왕의 특권을 모두 누릴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대부들의 암살 위협을 무릅쓰고 목숨을 걸고 비밀리에 한글을 창제했습니다. 이렇게 위대한 한글이 나온 것에는 당시 세종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진지한 질문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 시대에 왜 조선의 왕이 되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스스로 질문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외부에서 오는 상처로 고통받는 백성에게 자신이 왕이 된 이유를 알리기 위해 한글을 창제했습니다.

 

 이렇게 참된 창의성은 정체성을 되돌아보는 질문에서부터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폰트를 개발한 산돌커뮤니케이션은 어떤 배경에서 태어났을까요?

 

 세계 최대 글로벌 잡지의 한국지사 아트디렉터로 일했던 석 의장은 활자 인쇄를 가까이하게 되었고, 우리의 소프트웨어에 연결되는 한글 글자판을 일본에서 수입해 온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당시 석 의장은 한글 글자판을 일본에서 수입하지 않으면 책 한 권도 내지 못하는 우리의 현실이 너무나도 슬프고 수치스럽게 느껴졌습니다. 미래의 딸이 아빠가 직장생활 할 때 한글을 수입했다며, 아빠는 그때 뭐 했어?”라는 말이 떠오르며 마음을 울렸고, 그렇게 글을 위한 무언가를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허름한 작업실에서 3년간 라면을 먹으며 생활했지만, 한글 활자에 대한 그의 열정은 그 어떤 외로움과 배고픔도 이기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먼저 그는 현대적이고 시대적인 반영이 한글 활자에 필요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명조에는 아주 아름다운 우리 미의 곡선이 담겨있는데, 그 곡선을 어떻게 재현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개발을 했습니다. 활자 개발은 일종의 건축과 같은 섬세함이 필요합니다. 문학, 기술, 언어, 문자, 독서 심리학 등 모든 것이 동원되어야 제대로 된 활자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게 우리나라 대표 출판용 활자인 명조체가 개발되었습니다.

 

 그럼 산돌커뮤니케이션 서체는 어떤 비하인드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맑은고딕

1994년 마이크로소프트의 기본 서체는 굴림체였는데 그 오리지널은 일본에서 온 디자인이었기에, 우리의 고유한 한국의 디자인을 담은 활자를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그렇게 산돌커뮤니테이션이 개발을 담당할 회사로 선정되었지만 예산 문제로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석금호 의장은 우연한 기회에 마이크로소프트 본사에 찾아가 한글 폰트 개발을 설득시키게 되었고, 그렇게해서 지금의 맑은 고딕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산돌고딕

석 의장은 다양한 폰트를 개발하던 중 애플로부터 연락을 받게 됩니다. 애플의 기본 서체로 쓸 수 있는 한글 폰트 샘플을 요청했고, 그중에서도 산돌 고딕을 발전시켜 9개의 폰트가 모두 채용이 되었고, 애플의 모든 기기의 기본 서체로 산돌고딕Neo가 채택되었습니다.

 

 

Noto-sans

구글에서도 몇 년간 프로젝트를 함께 시행했는데요. 일본어, 중국어 디자인 통일화된 서체로 개발된 폰트가 바로 Noto-sans입니다. 이 이름에 담긴 비하인드 스토리도 굉장히 흥미로운데요. 구글에서 인식되지 않는 글자는 네모난 모형으로 입력되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네모칸을 두부를 뜻하는 TOFU로 보았는데요. “당신이 한글, 중국어, 일본어가 모두 호환되는 이 폰트를 쓰면 더 이상 두부와 같은 네모칸을 볼 일은 없을 것이라는 뜻의 no-to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산돌커뮤니케이션은 먼저 우리 고유의 멋을 폰트에 녹여내는 것에 집중했습니다. 사실 일본은 곡선의 대한 미의 기준이 다른데요. 일본이 곱고 부드러운 곡선미를 추구한다면, 우리의 곡선은 속도감이 있고 우아합니다. 이런 문화적인 차이를 습득하지 않고는 우리의 활자를 개발할 수 없습니다. 그렇게 문화를 활자에 담아냈고, 우리는 더 이상 일본에서 수입하지 않고도 우리의 고유 활자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체성에 대한 답이 없는데 우리는 어떻게 디자인을 할 수 있을까요? 정체성을 발견하는 사람은 이상(理想)이 생기고, 이상이 생기면 갈망과 분노가 동시에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이런 갈망과 분노가 에너지로 충전되어, 이 시대에 필요로 하는 창의성이 싹트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싹튼 창의성은 행동과 실천 그리고 인내를 거쳐 결실을 맺게 됩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나에게 진정한 창의성은 어디서 나오는지 고민해보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